공공코스 주요과목의 특색
과목 | 특색 |
---|---|
도구로서의 게임이론 | 어느 주체의 행동이 다른 주체의 행동에 의존하는 경우, 각각의 주체 간에는 경쟁, 충돌, 협력관계가 발생한다. 이러한 경제거래에 있어서의 의존관계를 분석하는 도구로서의 게임이론의 관점, 특히 공공정책, 국제관계에서의 응용사례를 설명한다. |
정보의 경제학 | 현대의 경제활동 가운데 일어나는 다양한 거래에 있어, 당사자 간에 “정보”가 비대칭인 경우에 발생하는 각종 문제의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, 정상적인 경제거래가 성립하기 위한 제도설계(Mechanism Design)의 가능성에 관해 설명한다. |
공공경제학Ⅱ | 공공코스를 선택한 학생들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과목 중 하나. 공공경제학Ⅰ에 이어, “완전시장”이라는 이상적인 상태에서의 특성과, “시장의 실패”의 관점, 그리고 시장의 실패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설계할 가능성에 관해서 설명한다. |
지방재정의 경제학 | 지방재정의 경제학Ⅰ・Ⅱ에서는 지방정부의 활동에 초점을 맞춰서 지방정부간의 관계나 국가와 지방의 역할분담 등을 설명한다. Ⅰ에서는 주로 교육이나 복지 등의 세출면을 다루고, Ⅱ에서는 주로 지방세나 지방재정이전 등의 세입면을 다룹니다. |
공공선택론 | 공공선택론은 정치와 경제의 현재의 모습에 기초하여, 실제로 발생하고 있는 사상 (사회문제 등)으로부터 이론 혹은 가설을 도출하고, 그 타당성을 검증 및 고찰하는 연구분야이다. 공공정책이 다양한 주체들 사이에서 어떻게 조정되고 결정되는지를 경제학의 관점을 이용하여 설명한다. |
지역코스 주요과목의 특색
과목 | 특색 |
---|---|
글로벌경제A | EU가 걸어왔던 길을 그 역사적 배경에 기초하여 설명한다. 특히 유럽금융시장의 특징 중 하나인 “volksbank”, “community bank”라고 불리우는 협동조합 금융기관의 역사적 배경과 변용을 다룬다. |
글로벌경제B | 개발도상국의 입장・현황에 관하여, 글로벌한 시점에서 이해하기 위해, 국제경제분야에서 영문간행물을 사용한다. 나아가 국제경제에 있어서 논의되고 있는 토픽의 내용만이 아닌, 사용되고 있는 개념이나 어휘(일본어・영어)의 습득을 목표로 설명한다. |
GIS에 의한 공간분석Ⅰ | 지역코스를 선택한 학생들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과목 중 하나. 컴퓨터로 디지털 맵에 복수의 통계데이터를 동시에 나타내어 현실세계를 분석하는 “지리정보시스템: GIS”를 이용하여 기본조작과 공간분석의 수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실습한다. |
도시경제학 | 경제활동이 공간적으로 균등하게 이루어지지 않고, 특정지역에 집적(集積)하는 것을 “도시”라고 한다. 도시 형성의 원인 및 도시공간에 있어서의 경제활동을 해명하는 사고력과 현실세계에서의 “도시”에 나타나는 현상 및 발생하는 문제를 어느정도 해명할 수 있는가에 관해 설명한다. |
지역인구론 | 지역인구론은 다양한 인구현상(분포・증감・이동・구조・출생・사망・결혼 등)의 지역별 차이를 탐구하는 분야이다. 이러한 인구현상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각종 인구 통계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방법이나 관점에 관하여 설명한다. |